Hardware PSD

NE555를 이용한 멀티바이브레터

EP 기술연구소 2012. 1. 17. 16:24

 

1. NE555 타이머 사용한 비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

① 발진주기 : T=0.7(R1 + 2R2)C

② 회로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

 

 

③ 콘덴서 C가 저항( R1 + R2 )을 거쳐 충전할 동안 출력 단자 3번 핀에서 "H"레벨의 신호가 출력되 고 콘덴서 C가 저항 R2을 통해 방전할 동안은 "L"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.

④ NE555의 5번 핀(제어 전압 단자)을 개방하게 되면 잡음등의 유입으로 회로의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

 

 

2. NE555 타이머 사용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

① 발진주기 : T=1.1RC

② 회로 

 

 

3. NE555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

          

 

SW을 on하고 난 후부터 콘덴서 C가 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출력펄스 폭을 결정하게 된다. 즉, 콘 덴서 C의 충전시간동안 출력 파형이 “H" 레벨이 된다. 출력 파형이 ”H"레벨에 머무르는 시간T는 다음 과 같다.

 

T=1.1RC=1.1×100[㏀]×50[㎌]=5.5[sec]

 

4. 단속음 발진회로 및 스피커 구동회로

  

      

   

 

① MV-1의 발진주기

T=1.4 RC=1.4×1[㏀]×470[㎌]=0.658[sec]

 

② MV-2의 발진주기

T=1.4 RC=1.4×1[㏀]×1[㎌]=1.4[msec]

 

③ A단자가 NE555의 출력 중에서 “H"레벨(약 5.5초)동안만 MV-1회로가 발진을 하는데 그 주기는 약 0.658[sec]이다. 그리고 MV-1의 출력 중에서 ”H"레벨 일 때만 MV-1회로가 발진을 하는데 그 주기 는 약1.4[msec]이다.

 

④ MV-2의 발진출력은 다아링톤 접속회로에서 증폭되어 스피커를 구동시켜 발진음714[Hz]이 나온다.

 

⑤ 각 점의 출력파형

 

 

   

5. 전 회로의 동작설명

SW를 누르고 난 후 콘덴서 C가 충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약 5.5[sec]로, 이 때 NE 555의 3번 핀의 출력이 H가 된다. 그러면 MV-1회로가 약 0.658[sec]의 주기로 발진을 하게 되며, 발진 출력이 H가 될 때 LED가 점등된다. 이때 MV-2회로가 약 1.4[ms]의 주기로 발진을 하며, 이 출력이 스피커 구동회로 (다링톤 접속 증폭회로)에 공급된다. 결론적으로 SW를 누르고 난 후 약 0.33[sec]동안에 LED가 점등하고, 이 동안 스피커에서 삐-삐-하는 단속음이(714[Hz])이 들린다.

'Hardware PS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RIAC 출력에 전력부족으로 SSR 을 연결할 경우  (0) 2019.05.17
Standard Resistor & Capacitor  (0) 2014.10.04
RS485 Interface  (0) 2011.06.20
Infra-Red Level Detector  (0) 2011.06.11
HV Floating MOS-Gate Driver ICs  (0) 2011.03.26